2012년 3월 22일 목요일

식면신동요법!!식이란...마치현,쇠비름 ,마치현효능,마치현성분,마치현나물,마치현줄기,마치현서식지,쇠비름효능,쇠비름성분,쇠비름줄기,쇠비름나물

마치현,쇠비름



폐결핵 폐농양 관절염에 효험

강심작용, 혈압상승작용, 억균작용, 자궁수축작용, 지혈작용, 대장염, 부스럼, 임증, 단독, 습진, 폐결핵, 폐농양, 폐렴, 관절염, 눈이 어두운데, 대소변이 안나오는 데, 해독, 살충, 갈증, 종기, 악창, 흰머리 예방, 사마귀, 발바닥이 마르면서 트는병, 여드름에 효험있는 쇠비름

쇠비름은 쇠비름과 쇠비름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쇠비름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채송화, 쇠비름(돼지풀)이 자라고 있다.
흔히 길가나 밭에서 볼 수 있다. 키는 30센티미터 가량이고 다육질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적갈색이며 뿌리는 흰색이지만 손으로 문질러 주면 붉은색으로 변한다. 시골 어린이들은 이 과정을 장난삼아 뿌리를 쓰다듬으면서 재미를 가지고 논다. 줄기는 땅으로 기는데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끝 부분은 한 바퀴 돌려가며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짧다. 꽃은 양성화이고 노란색이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잎은 5장인데 꽃받침은 2장이고 타원형이다. 수술은 7~12개이며 씨는 삭과로서 아주 작은 것이 많이 들어 있다. 개화기는 5~8월이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전초는 민간에서 해독, 이뇨, 이질, 간염에 물로 달여서 먹는다.
쇠비름의 다른 이름은 마치현[馬齒莧: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마치초[馬齒草: 뇌공포구론(雷公炮灸論)], 마현[馬莧: 도홍경(陶弘景)], 오행초[五行草: 본초도경(本草圖經)], 마치채[馬齒菜: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마치용아[馬齒龍芽: 보장론(寶藏論)], 오방초[五方草, 장명채:長命菜, 구두사자초:九頭獅子草: 본초강목(本草綱目)], 산현[酸莧, 안락채:安樂菜: 의림찬요(醫林纂要)], 과자채[瓜子菜: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장명현[長命莧, 장판두초:醬瓣豆草: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사초[蛇草: 남경민간초약(南京民間草藥)], 산미채[酸味菜: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저모채[猪母菜, 사자초:獅子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지마채[地馬菜: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마사자채[馬蛇子菜, 마의채:螞蟻菜: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마답채[馬踏菜: 산동중약(山東中藥)], 장수채[長壽菜: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돼지풀 등으로 부른다.
[채취]
여름과 가을에 줄기와 잎이 무성할 때 전초를 베어 흙을 깨끗이 씻어내고 끓는 물에 약간 데쳐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전초에는 다량의 noradrenaline(신선한 전초 1g당 2.5mg)과 대량의 칼륨염(질산칼륨, 염화칼륨, 황산칼륨 등. K2O 계산에서는 신선한 것에는 칼륨염이 1% 들어 있고 말린 것에는 17% 들어 있다)이 들어 있다. 그밖에 또 dopamine, DOPA, malic acid, citric acid,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sucrose, glucose, fructose 등이 들어 있다.
식용부 100g에는 protein 2.3g, fat 0.5g, ekd 3g, 조섬유 0.7g, 칼슘 85mg, 인 56mg, 철 1.5mg, carotene 2.23mg, thiamine 0.03mg, riboflavine 0.11mg, nicotinic acid 0.7mg, 비타민 C 23mg이 들어 있다.
전초에는 또 알칼로이드, coumarins, 플라보노이드, cardiac glycoside와 anthraquinone glycoside가 들어 있다.
[약리작용]
1, 항균작용
농도가 1:4일 때 in vitro에서 이질균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이런 살균 작용은 약물 자체의 강한 산성(酸性)에 의한 것이 아니다. 전제(煎劑)는 농도가 18.75~37.5mg/ml일 때 이질균, sone균, munit균, flexiner균을 쇠비름과 여러 차례 접촉 배양을 하면 이런 균은 뚜렷한 내약성을 가진다. 이밖에 티푸스균, 대장균,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하여 같지 않은 정도의 억제 작용을 하지만 결핵균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을 하지 못한다. 몇몇 병원성 진균에 대해서도 정도는 다르지만 억제 작용을 한다. mouse의 대장균 감염에 대하여 알코올 추출물 혹은 추출 후의 찌꺼기를 달인액은 모두 효과가 없다.

2, 일반 약리 작용
추출액(물로 달여서 농축시키고 알코올을 가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것)은 guinea-pig, rat alc rabbit의 적출한 자궁과 rabbit 및 개의 in situ 자궁에 대하여 모두 뚜렷한 흥분 작용을 한다. 임산부에게 신선한 쇠비름의 즙액 6~8ml를 경구 투여하면 자궁 수축이 많아지고 그 세기가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제(煎劑)는 개구리의 적출 심장 및 guinea-pig의 적출한 소장에 대하여 모두 억제 작용을 한다. 마취시킨 개에게 마리당 20% 전제(煎劑) 3ml를 정맥 주사하면 혈압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수용성과 지용성(脂溶性) 추출물은 일부 알록산(사양밀정=四氧嘧啶)성 당뇨병에 걸린 rabbit의 생명을 연장하여 주었지만 혈당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동물의 지질대사 문란을 개선할 수 있다.


[법제]
잡물을 없애고 남은 뿌리를 제거하 누기를 조금 준 다음 잘게 잘라 햇볕에 말린다.
[맛과 성질]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1, <도홍경>: "맛이 약간 시다."
2, <당본초>: "맛은 맵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3, <신농본초경소>: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귀경]
대장(大腸), 간(肝),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1, <전남본초>: "위에 들어간다."
2, <본초재신>: "간, 비의 2경에 들어간다."
3, <득배본초>: "수태양(手太陽), 양명경(陽明經)에 들어간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산혈(散血)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열리농혈(熱痢膿血), 열림(熱淋), 혈림(血淋), 대하증, 조그마한 종기와 악창, 단독(丹毒), 나력을 치료한다.
1, <당본초>: "여러 가지 종루우목(腫瘻疣目)을 다스릴 때에는 짓찧어 아픈 곳을 문지른다. 즙을 마시면 번위(翻胃), 여러 가지 임질, 칼에 벤 상처로 인한 대출혈을 다스리며 혈벽징벽(血癖癥癖)을 없애는데 소아에게 특히 좋다. 즙으로 입술의 경련, 여드름, 마한(馬汗), 사공독(射工毒)을 씻으면 치료된다."
2, <맹선>: "습선백독(濕癬白禿)에 쇠비름과 재를 섞어서 바르면 효과가 있다. 감리(疳痢) 및 모든 풍(風)을 치료한다. 장창(杖瘡)에 바른다."
3, <식료본초>: "눈을 밝게 한다. 또 감리(疳痢)를 치료할 수 있다."
4, <본초습유>: "소갈증을 멎게 한다."
5, <촉본초>: "시각(尸脚: 발이 겨울, 여름할 것이 없이 늘상 터서 갈라지는 것)과 음종(陰腫)을 다스린다."
6, <개보본초>: "목맹백예(目盲白瞖)를 다스리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한열(寒熱)을 없애고 모든 충(蟲)을 죽이며 갈증을 해소하고 징결옹창(癥結癰瘡)을 파(破)한다. 또 태운 재를 여러 해 묵은 식초 찌꺼기와 섞어서 먼저 정종(疔腫)에 뜸을 뜨고 그 약으로 덮으면 종기 뿌리가 빠진다. 신선한 것을 짓찧은 즙을 복용하면 오물을 내리우고 촌백충을 없앤다."
7, <일용본초>: "간의 열을 내리고 퇴예(退翳)한다."
8, <전남본초>: "익기(益氣), 청서열(淸署熱), 관중하기(寬中下氣), 윤장(潤腸)하고 적체를 없애며 살충하고 창(瘡)으로 빨갛게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9, <본초강목>: "산혈소종(散血消腫)하고 이장활태(利腸滑胎)하며 해독하고 림(淋)을 통하게 하며 산후의 식은 땀을 치료한다."
10,<생초약성비요>: "적리증을 치료한다. 열독(熱毒)을 없애고 치질과 감정(疳疔)을 씻는다."



<쇠비름 종자>
<개보본초(開寶本草)>: "쇠비름 종자는 눈을 밝게 한다."
[사용법과 용량]
내복: 11.1g~18.5g(신선한 것은 75~15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짓찧은 즙을 마신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태운 재를 갈아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배합과 주의사항]
<신농본초경소>: "무릇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하고 장활(腸滑)로 설사를 하는 사람은 쓰지 못한다. 달이는 약에 별갑(鱉甲: 자라 등껍질)을 함께 넣으면 안 된다."
쇠비름에 관해서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마치현
성질이 차고[寒]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 여러 가지 헌데와 악창을 낫게 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징결을 헤친다. 쇠붙이에 다쳐서 생긴 헌데와 속에 누공[漏]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갈증을 멎게 하며 여러 가지 벌레를 죽인다. 어느 지방에나 다 있는데 2가지 종류가 있다. 잎이 큰 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잎이 작고 마디와 잎 사이가 수은빛 같은 것을 약으로 쓰는데 이것을 말리기가 매우 어렵다.
홰나무방망이로 짓찧어서 해가 돋는 동쪽에 시렁을 매고 2-3일 동안 햇볕에 말려야 마른다. 약으로는 줄기와 마디를 버리고 잎만 쓴다. 이것을 비름이라고는 하나 참비름과는 전혀 다르다. 또한 오행초(五行草)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잎이 퍼렇고 줄기가 붉으며 꽃이 누렇고 뿌리가 허여며 씨가 거멓기 때문이다. 잎의 생김새가 말 이빨[馬齒] 같기 때문에 마치현이라고도 한다.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데 쌀가루를 섞어 양념을 해서 국을 끓여 먹는다. 적백이질에는 짓찧어 즙 3홉을 짜서 달걀 1알의 흰자위와 고루 섞어 따뜻하게 하여 먹는데 두번만 먹으면 곧 낫는다. 혹은 쇠비름을 삶아서 소금, 장, 생강, 식초를 넣어 고루 섞어서 먹기도 한다. 어린이의 혈리(血痢)에는 즙 1홉에 꿀 1숟가락을 타서 쓴다. 
해산 후에 혈리(血痢)로 배가 아픈 데는 쇠비름을 짓찧어 3홉의 즙을 받아 한번 끓어 오르게 달인 다음 꿀 1홉을 섞어서 먹는다. 어린이의 감리(疳痢)를 주로 치료한다. 쇠비름을 익혀서 양념을 두고 빈속에 먹인다. 또한 마마를 앓은 뒤에 딱지가 떨어진 자리와 백독창(白禿瘡)에 쇠비름즙을 졸여 고약을 만들어 바르면 좋다. 모든 충과 촌백충을 죽인다. 생것을 짓찧어 즙을 내거나 삶아서 소금과 식초에 무쳐 빈속에 먹으면 충이 저절로 나온다.]
쇠비름이 최근에는 만성간염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소문이 나서 C형간염환자들이 많이 복용하고 있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쇠비름인 마치현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마치현(馬齒莧) //쇠비름// [본초]
쇠비름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쇠비름(Partulaca oleracea L.)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들판과 밭에서 널리 자란다.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전초를 채취하여 증기에 찌거나 끓는 물에 데쳐서 햇볕에 말린다. 신선한 것을 쓰기도 한다.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심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어혈을 없애고 살충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심작용, 혈압상승작용, 억균작용, 자궁수축작용, 지혈작용 등이 밝혀졌다. 대장염의 예방치료에 주로 쓴다. 
이밖에 부스럼, 임증, 단독, 습진 등에 쓰며 폐결핵, 폐농양, 관절염에도 효과가 있다. 하루 15~30그램, 신선한 것은 50~60그램을 물로 달여먹거나 생즙을 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내어 바른다. 허한성설사와 고혈압병에는 쓰지 않는다.]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쇠비름
쇠비름은 성질찬데
부은 종처 삭인다오.
이질, 갈증, 임병 등에
흔히 쓰는 약이지만
그 효력은 독풀고 충죽이는데 있더라.]
세종임금이 편찬한 <향약집성방>에서는 마치현의 효능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눈 어두운데, 대소변 안나오는데, 한열, 해독, 살충, 갈증, 종기, 악창, 장수, 흰머리예방, 사마귀, 발바닥이 마르면서 트는병, 여드름을 치료한다.


소아에게 먹여도 좋다. 쇠비름씨는 눈을 밝게 한다. 맛이 시고 성질이 차며 독이 없다. 장을 기름지게 해서 음식생각이 없게 한다. 반드시 회화나무 망방이로 두드려 햇볕이 쬐는 동쪽에 매달아 2~3일 동안 말려야 한다. 날 것을 즙을 짜서 복용하면 뱃속에 촌충과 기생충이 나온다. 오래복용하면 장수하고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는다. 쇠비름 생즙으로 씻으면 얼굴에 나는 여드름이 낫는다.]
◆ 쇠비름 종자 및 쇠비름 전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쇠비름 종자>
1, 청맹백예(靑盲白翳)을 치료하고 사기를 제거하며 대소장을 좋게 하고 한열을 없애는 방법
쇠비름 종자 1되(큰 것)를 가루내어 1회 한 숟가락을 총시죽(葱豉粥)과 섞어 먹는다. [식의심경(食醫心鏡)]

2, 눈에 고름이 나오는 병이 오래 낫지 않을 때
쇠비름 종자 18.5g, 인현자(人莧子) 반 홉을 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구리 그릇에 담아 밥솥에 넣어 찐다. 솜으로 싸서 따뜻하게 하여 고름이 나오는 눈초리 끝을 문지른다. 문지를 때 약의 온도를 30~50℃로 하면 고름이 저절로 멎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위안방(熨眼方)]

<쇠비름 전초>
3, 적리(赤痢)
잘게 자른 쇠비름 2움큼(큰 움큼), 갱미(粳米) 3홉을 물로 죽처럼 끓인다. 식염과 식초를 넣지 말고 빈속에 담백하게 먹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마치죽(馬齒粥)]

4, 산후의 적리, 요폐, 제복통(臍腹痛)
신선한 쇠비름을 짓찧어 짜낸 즙 3홉을 한 번 펄펄 끓여서 꿀 1홉을 넣어 한번에 복용한다. [경효산보(經效産寶)]

5, 소변열림(小便熱淋)
쇠비름의 즙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6, 적백대하(나이에 관계없이 임신부는 다 쓸 수 있다)
쇠비름을 짓찧어 짜낸 즙 3홉(큰 것)에 계자백(鷄子白: 달걀흰자) 1개를 넣고 서서히 데워서 약간 따뜻할 때 쇠비름즙을 한 번에 먹는다. [해상집험방(海上集驗方)]

7, 충수염
신선한 쇠비름 한 움큼을 깨끗이 씻고 짓찧어 짜낸 즙 30ml에 끓여 식힌 물 100ml, 흰설탕 적당량을 넣어 1일 3회, 1회에 100ml씩 복용한다. [복건중의약(福建中醫藥)]

8, 잘 낫지 않는 옹(癰)
쇠비름을 짓찧은 즙을 달여서 바른다. [천금방(千金方)]

9, 여러해 된 악창
쇠비름을 짓찧어 바른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0, 주각렴창(蛀脚臁瘡)
말린 쇠비름을 갈아서 가루내어 꿀에 개어서 바른다. 하룻밤 지나면 벌레가 스스로 나온다. [해상방(海上方)]

11, 번화창(翻花瘡)
쇠비름 500g을 태운 재를 갈아서 가루내어 돼지 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2, 귀에 생긴 악창
말린 쇠비름 37.5g, 썬 황백(黃柏) 18.5g을 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솜에 조금 싸서 귀에 넣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3, 갑저(甲疽)
쇠비름(그늘에서 말린 것) 37.5g, 목향(木香), 보드랍게 간 단사(丹砂), 보드랍게 간 식염 각 0.37g.

상술한 약중에서 단사(丹砂)와 식염을 제외한 나머지 약을 잘게 잘라서 고루 섞는다. 화로에 넣고 숯불에 태운 다음 꺼내어 보드랍게 갈고 거기에 단사(丹砂)와 식염가루를 넣고 다시 갈아서 바로 창(瘡)에 바른다. 매일 2~3회 바른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마치산부방(馬齒散敷方)]
14, 소아백독(小兒白禿)
쇠비름을 바싹 달여 고(膏)처럼 만들어 바른다. 또는 태운 재를 돼지 기름에 개어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5, 어린 아이가 화단(火丹)에 의해 열이 불덩이같고 허리에까지 번졌을 때
쇠비름을 절굿공이로 찧어 매일 2회 바른다. [광리방(廣利方)]

16, 나력
쇠비름을 그늘 말림하여 태운 재를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 기름과 섞는다. 따뜻하고 맑은 쌀뜨물로 창(창)을 깨끗이 씻고 물기를 닦아낸 다음 1일 3번 바른다. [구급방(救急方)]

17, 터지지 않은 나력
쇠비름을 전화(靛花)와 함께 찧어 1일 3번 바른다. [간편양방(簡便良方)]

18, 항문이 붓고 아픈 경우
쇠비름잎, 삼엽산초(三葉酸草) 각 같은 양을 달여서 훈세(燻洗)하는데 1일 2번하면 효과가 있다. [빈호집간방(瀕湖集簡方)]




19, 지네에 물린 상처
쇠비름의 즙을 바른다. [주후방(肘後方)]

20, 세균성 이질의 예방(임상보고)
신선한 쇠비름이 줄기와 잎을 깨끗이 씻고 잘게 썬 다음 쇠비름 500g에 물 1.5kg을 넣고 500g으로 될 때까지 달여서 걸러낸다. 성인은 1일 3회, 1회 70ml를 2~7일간 연속 복용한다. 어린이는 50% 쇠비름 달임제제를 복용시켰다. 또는 쇠비름을 잘 게 썰어서 혼돈자, 만두속에으로 하거나 죽을 쑤어 먹였다. 쇠비름 각 500g을 15등분으로 나누어, 소아에게 격일로 1등분씩 복용시켰다. 지역에 따라서는 부식물로 사용하여 10일간 계속 먹였다. 수천 례의 관찰에 의하면 세균성 이질이 유행되는 계절에 복용시키니 발병률이 뚜렷하게 내려갔다. [중약대사전]

21, 세균성 이질, 장염 및 이질균 보균자의 치료(임상보고)
급성, 만성 세균성 이질에 대한 쇠비름의 치료 효과는 설퍼구아니딘(sulphaguanidine), 신토마이신(syntomy-cin) 등 다른 이질 치료약과 비슷하다. 급성 병례에 대한 유효율은 90% 이상이고 만성 병례에 대한 유효율은 60% 내외이다.

약의 조제량: 쇠비름의 유효 복용량의 안전범위는 매우넓어 대량 복용하여도 독성이 없다. 100% 쇠비름 달임제제를 복용한 후에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일으킨 것이 1례가 있다는 보도가 있다. 신선한 전초는 1일 500g, 말린 것은 그 절반인 250g을 복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임상에서 보통 50% 달임제제(말린 것)을 1회 50~100ml, 또는 100% 달임제제(신선한 것)을 1회 40~70ml씩, 1일 3~4회 복용한다. 소아는 적당히 양을 줄이고 7~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였다. 만성 병례는 4주일 동안 연속 복용시켰는데 독성 반응이 보이지 않았다. 심한 병례에 대하여는 마치현 달임제제를 희석하여 1회 200ml를 1일 1회 보류(保留) 관장을 하는 것이 좋다. 또 쇠비름, 철현채(鐵莧菜) 각 같은 양으로 만든 주사제(매 1ml가 생약 1g에 상당함)를 성인에게 1회 2ml, 1일 2~3회 근육 주사하고 연속 3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 것도 있다. 이밖에 쇠비름, 할미꽃, 황경피나무껍질을 3:1:1의 비례로하여 만든 합제(合劑)를 써도 치료 효과가 좋았고, 쇠비름을 사용한 치료 과정에서 심한 탈수증상을 보인 환자에게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보액(補液)이 필요하고, 복통이 있는 자에게는 벨라돈나 합제를 썼다. 급성 병례의 대다수는 복용 후 모든 임상증상이 빠르게 억제되어 1~2일 지나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되고 3~5일 지나 대변 횟수가 정상으로 되었다. 또 3~4일 지나 복통과 이급 후중이 사라졌고 2~6일(가장 늦은 것은 11일) 지나 대변배양이 음성으로 전변되었다. 또 쇠비름은 이질균 보균자, 장염 소화 불량성 설사에 대하여서도 같은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
22, 십이지장충병(임상보고)
성인의 1회 용량은 신선한 마치현 185~222g으로 하고 그 달임제제에 식초 50ml를 넣거나 또는 적당한 양의 흰설탕을 넣어도 좋다. 1일 1회 또는 2회에 나누어 공복에 복용하며 3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였다. 제2, 제3 치료 기간을 계속 치료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10~14일의 간격을 두었다. 192례의 임상관찰에서 1~3치료 기간을 복용한 후 현미경으로 대변을 검사한 결과 벌레알의 음전률이 80% 내외를 차지하였다. 쇠비름은 정제(錠劑)로 만들어 쓸 수도 있고 1:2의 유동엑스로 만들어 쓸 수도 있다. 치료 효과는 정제(錠劑)가 가장 좋고, 그 다음이 유동엑스이며, 달임제제가 조금 약했다.

23, 급성 충수염(임상보고)
말린 쇠비름, 민들레 각 75g(신선한 것을 쓸 때에는 사용량을 2배로 증가한다)을 물로 두 번 달이고 달인 약액을 합하여 다시 농축하여 200ml의 진한 달임제제로 만든다. 오전, 오후에 각각 100ml씩 복용시키고, 치료한 31례에서 1례가 치료효과가 좋지 못하여 수술을 한것 외에 다른 병례는 모두 완치되어 퇴원하였다. 그 중 절대 다수는 3~8일 이내에 체온과 백혈구가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복통, 반도통(反跳痛), 복근 긴장과 압통(壓痛) 등이 사라졌거나 경미한 심압통(深壓痛)만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쇠비름을 깨끗이 씻고 짓찧은 다음 가제에 싸서 짜낸 원액 30ml에 적당량의 흰설탕 및 끓여 식힌 물을 부어 100ml 되게 한다. 이것을 1회에 먹는 양으로 하고 1일 3회 복용한다. 이 방법도 치료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24, 림프절 결핵이 화농되었을 때의 치료(임상보고)
전초 222g을 깨끗이 씻고 햇볕에 말려 곱게 가루낸다. 이것을 푹 끓인 돼지 비계 기름 296g에 넣고 가열하면서 뜨거울 때 쇠국자로 계속 휘젓다가 흰 연기가 날 때 솥을 내린다. 그리고 꿀 296g을 넣고 혼합하여 풀 모양이 되게 한다. 이것을 식히면 연고가 된다. 사용하기 전에 먼저 환부를 쌀뜨물로 깨끗이 씻고 상처의 크기에 따라 고약을 붙인 다음 가재를 덮고 반창고로 고정한다. 다 나을 때까지 2일에 한 번씩 약을 바꾸어 붙인다. 치료 기간에 비늘이 없는 물고기와 자라를 먹지 말아야 하며 성생활을 삼가야 한다. 이 고약은 다른 골결핵 궤란에 대해서도 같은 치료 효과를 냄과 동시에 이 연고를 내복하여 여러 가지 결핵을 치료할 수 있다.

복용법: 1회 3.75~11.1g을, 1일 3회 복용한다. 임상에서 118례를 관찰한 결과 림프절 결핵 42례, 폐결핵 31례, 기타 결핵(척추 결핵, 위결핵, 장결핵, 신장 결핵을 포함) 45례는 정도는 다르지만 모두 치료 효과가 있었다. 또 신선한 쇠비름을 깨끗이 씻고 푹 삶은 다음 원액을 짜내어 끈끈한 엿처럼 졸여서 한성(寒性) 농양(膿瘍)의 치료에 쓸 수 있는데 상처를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깨끗이 씻은 다음 고약을 환부에 바르고 가제를 덮어 고정한다. 이것도 상당한 치료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
25, 부스럼 및 화농성 질환의 치료(임상보고)
신선한 쇠비름 148~222g을 깨끗이 씻고 짓찧어 물 1~1.5kg을 넣고 달인다(오래 달이면 안 된다). 온도가 40℃ 안팎으로 되었을 때 수건에 약액을 적셔 환부를 씻는다. 1일 2~4회, 4~6겹의 가제를 약액에 담갔다가 꺼내어 환부를 습부(濕敷)한다. 1일 2~4회, 1회 20~60분간 진행한다. 또는 쇠비름을 짓찧어 풀처럼 만들어 환부에 바르고 가제로 고정하여 놓는다. 1일 4~6회씩 약을 바꾼다. 씻는 방법과 짓찧은 것을 바르는 방법은 화농성 ㅣ피부병과 외과 감염증에 적용된다. 예컨데 한여름철에 걸린 창독(瘡毒), 부스럼, 화농성 유선염, 단독(丹毒), 봉와직염, 항문주위의 농양, 갑구염(甲溝炎) 등이다. 씻는 방법은 또 황수창, 하퇴 궤양, 족선(足癬) 감염 등에 쓰인다. 습부법(濕敷法)은 주로 습진, 옻이 오른데, 젖먹이의 습진, 접촉성 피부염 등 미란 삼출성 피부손상에 쓴다. 상술한 질환에 쇠비름을 외용으로 하는 외에 적당히 내복약을 겸하여 쓰면 1~2주일 내에 치료될 수 있다. 미란 삼출성 피부손상에 쇠비름을 습포(濕布)하면 평균 3~5일에 스며 나온 것이 멎고 새로운 상피(上皮)가 생긴다. [중약대사전]

26, 자궁 수축(임상보고)
500여례의 임상관찰에 의하면 쇠비름의 주사액은 ergometrine 대신 쓸 수 있다.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작용은 ergometrine보다 더 강하다. 주사액은 각 1ml가 생약 1.85~3.75g에 상당한데 해산 후의 출혈, 기능성 자궁출혈 등에는 2ml를 근육 주사한다. 제왕절개, 괄궁(刮宮: 자궁을 긁어내는 것) 해산에서는 자궁저부의 양측에 직접 주사하거나 자궁경에 주입한다. [중약대사전]

27, 소아의 단순성 설사의 치료(임상보고)
신선한 쇠비름 500~1kg을 달임제제에 적당량의 흰설탕을 넣어 맛을 조절하고 여러번 나누어 1일 다 먹인다. 연속 2~3일 먹여야 한다. 또는 신선한 쇠비름을 깨끗이 씻고 불에 말려 가루내어 1회 3g을 미지근한 물로 먹이는데 1일 3번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28, 소아의 백일해의 치료(임상보고)
50%의 쇠비름 시럽 100ml를 1일 4회, 3일에 나누어 먹인다. 일반적으로 3일 먹으면 기침이 적어지고 발작 시간이 짧아지며 증상이 경감된다. [중약대사전]

29, 폐렴
쇠비름20~30g씩 물에 달여 하루 3~5번(4~6세)에 나누어 먹인다. 그 찌꺼기를 가슴에 대고 찜질을 해도 좋다. [고려의학 제 1권 212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고려치료168면]

번식력이 왕성하여 시골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에게는 뽑아서 밭둑에 버려도 다시 살아나기 때문에 귀찮은 존재로 여기기도 한다. 쇠비름에 관해 <본초도경> 에서는 말하기를 "마치현을 오행초(五行草)라고도 부르는데 그 잎이 푸르고 줄기가 붉으며 꽃이 누렇고 뿌리가 희며 종자가 검기 때문이다."라고 그 유래를 알려주고 있다. <신농본초경소>에서는 "본초서에 이르기를 영기(營氣)에 따르지 않고 육리(肉裏)에 역행하면 부스럼이 생긴다고 하였다. <원병식(原病式)>에는 여러 가지 통양창(痛癢瘡)은 모두 심화(心火)에 속한다고 기재되었다. 마치현의 맵고 찬 것은 양혈산열(凉血散熱)할 수 있기에 징결(癥結), 옹창정종(癰瘡疔腫), 백독(白禿) 및 36종의 풍결창(風結瘡)을 치료하며, 짓찧어 바르면 종기가 흩어져 정(疔)은 뿌리가 빠지고 짜낸 즙을 복용하면 오물을 바로 내려가게 하는데 내복, 외용하여도 모두 효능을 발휘한다. 맵곳 찬 것은 통리(通利)하기에 한열(寒熱)을 제거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쓴맛은 살충(殺蟲)할 수 있고 찬 것은 제열(除熱)할 수 있기에 모든 충(蟲)을 죽이는 것을 주관하며 촌백충을 제거하고 지갈(止渴)한다. 맵고 찬 것은 폐(肺)의 열을 제거할 수 있기에 목뱅백예(目盲白瞖)를 치료한다."고 적고 있다.



식면신동요법(食眠身動療法)
상기 자료는 인체의 구조와 식물의 연구하는 사람으로 써 우리땅에 존재하는 식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어 질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분들에게 희망을 드리고자 합니다.
식면신동요법에 관심 가지고 연구하면 쉽게 질병를 치료 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세계적인 의술이 될 수 있도록 공급하고자 합니다.
저체온이 되어 각종질병들이 발생하는 것을 "신동" 몸을 움직여 막혀있는 부위에 혈액순환을 도와줌으로 괴사 및 대사증후군 크게는 폐"암"까지 치료하는데 신동요법은 목적을 두고 정보를 공개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